본문 바로가기

포트폴리오2

[투자] 사회초년생이 투자를 시작하는 이유 (20대, 분산투자, 포트폴리오) 투자를 시작하는 이유 2019년 취업을 하고 월급을 받게되면서 월급(=노동 소득)에만 의존하는 삶을 살게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며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이 생기기 시작했다. 현 시대에서는 단순히 열심히 벌고 열심히 모으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역대 최저 금리 시대를 살고 있다. 은행 예적금 금리가 1프로가 되지 않고 물가상승률보다 금리가 낮은 시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금을 들고 있거나 예적금만 하는 것은 오히려 손실을 보고 있는 것이다. 자본주의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노동 소득인 월급에만 의존하지 않고 자산을 늘려 자본소득 흐름을 만들어 경제적 자유를 이루고 싶다는 목표가 생기기 시작했다. 나는 직장에서 오랫동안 출퇴근하며 월급을 받고 싶지 않고 오래 직장을 다닐 수 있을지도 불.. 2020. 4. 13.
[채권] 미국 채권 - 어떤 채권에 투자 할까? (장기채, 단기채, 제로쿠폰채) 1. 채권에 투자하는 이유? 주식 시장이 불안하거나 경기가 하락할 때 위험자산 보다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심리가 상승한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는 채권, 금, 달러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채권은 널리 알려진 안전자산으로 특히 미국 채권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평가된다. 미국의 대표적인 주식시장 추종 ETF인 VTI와 미국 장기채 ETF인 TLT의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주식시장과 채권이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을 보인다. (물론 둘다 우상향 한다) 즉, 채권을 일정 비율 투자하게 되면 주식시장 하락에 대한 리스크 헷지 수단이 될 수 있다. 2. 장기채 vs 단기채 채권은 만기 기간에 따라 장기채, 중기채, 단기채로 나눌 수 있다. 장기채는 20년 이상, 중기채는 5~10년, 단기채는 1~3년 정도로 구분된다. .. 2020. 4. 9.